본문 바로가기
EnglishFrenchGermanItalianPortugueseRussianSpanish
논문 리뷰

[논문 리뷰] 뇌손상 환자에서 비위관 제거 실패 인자

by 닥터스피드 2024. 6. 8.

안녕하세요, 닥터스피드입니다.
레지던트 생활을 하면서 언제나 보호자에게 듣는 질문 중 하나는 '언제 콧줄을 제거할 수 있을까요?', '콧줄을 빨리 뺐으면 좋겠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등 콧줄 제거에 관한 것들이었습니다.
비위관 제거는 그만큼 뇌손상 환자와 그 가족에게 중요한 문제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비위관을 통해 영양을 섭취해야 하는 상황은 누구에게나 힘든 일입니다. 그렇다면, 비위관을 성공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무엇일까요? 이 글에서는 2024년 6월 4일 대한재활의학회지에 실린 논문을 리뷰해 비위관 제거 실패의 주요 인자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뇌손상 환자에서 콧줄 제거 실패 인자' 논문 리뷰
'뇌손상 환자에서 콧줄 제거 실패 인자' 논문 리뷰

 

비위관(콧줄)이란 무엇인가요?

비위관(NGT, Nasogastric Tube)은 코를 통해 위까지 삽입되는 관으로, 주로 삼키기 어려운 환자에게 영양 공급을 위해 사용됩니다. 뇌졸중이나 외상성 뇌손상(TBI)을 입은 환자들은 연하장애(삼킴 장애)를 겪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비위관을 통해 영양을 섭취해야 합니다. 비위관은 단기적으로는 효과적인 영양 공급 방법이지만, 장기 사용 시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기 비위관 사용은 비강 감염, 만성 부비동염, 위식도 역류, 위장 출혈, 흡인성 폐렴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뇌손상 환자에서 비위관 제거가 중요한 이유

뇌손상 환자의 비위관 제거는 단순히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을 넘어서 환자의 건강과 전반적인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비위관은 초기에는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일 수 있지만, 장기간 사용 시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비위관이 오래 삽입되어 있을 경우, 코와 인후의 감염, 만성 부비동염, 위식도 역류, 위장 출혈, 그리고 흡인성 폐렴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은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키고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위관을 성공적으로 제거하여 정상적인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환자의 건강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024년 6월 4일 대한재활의학회지에 실린 논문
2024년 6월 4일 대한재활의학회지에 실린 논문

 

 

비위관 제거 실패 인자 분석

2024년 6월 4일 대한재활의학회지에 게재된 '뇌손상 환자에서 비위관 제거 실패 인자'라는 제목의 논문을 분석해 비위관 제거 실패 인자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비위관 제거 실패의 주요 인자는 나이, 체질량지수(BMI), 일상생활활동(ADLs) 의존도, 그리고 허혈성 뇌졸중의 여부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뇌졸중이나 외상성 뇌손상을 입고 연하장애를 겪는 2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 중 53명(26.1%)은 6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비위관 제거에 실패했습니다.

  • 나이: 60세 이상, 특히 70세 이상인 환자들은 비위관 제거 실패 확률이 현저히 높았습니다. 이는 나이가 들수록 회복력이 떨어지고, 연하 근육의 기능이 약화되기 때문입니다.
  • 체질량지수(BMI): 저체중(BMI < 18.5)인 환자들의 경우 비위관 제거 실패 확률이 높았습니다. 저체중은 영양 상태가 불량하고, 근육량이 적어 연하 근육의 회복이 어려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 일상생활활동(ADLs) 의존도: 일상생활에서 완전히 의존적인 환자들은 비위관 제거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이러한 환자들은 연하 근육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신체 기능이 많이 저하된 상태이기 때문에 비위관 제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허혈성 뇌졸중: 허혈성 뇌졸중을 앓은 환자들은 비위관 제거 실패 확률이 더 높았습니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의 특정 부위에 혈류가 차단되어 발생하는데, 이는 연하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자들을 바탕으로 환자들을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으로 분류하여 맞춤형 관리 방법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와 가족들은 비위관 제거 실패 가능성을 미리 알고, 적절한 대처 방법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예방과 대처 방법: 환자와 가족을 위한 조언

비위관 제거 실패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환자와 가족이 취할 수 있는 몇 가지 중요한 조치가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환자의 회복을 돕고 비위관 제거 성공률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조기 평가와 중재

환자의 연하 기능을 조기에 평가하고 적절한 재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하장애가 있는 환자는 삼킴 훈련을 통해 기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이 훈련에는 음식의 질감을 조정하거나 고개를 숙이거나 돌리는 보상 기법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연하 근육을 강화하고 삼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영양 관리

체중을 유지하고 적절한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체중 환자는 영양 보충을 통해 체중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칼로리와 단백질 섭취는 근육량을 유지하고, 연하 근육의 회복을 도울 수 있습니다.


활동 수준 향상

일상생활활동(ADLs)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가 가능한 한 많은 일상 활동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하고 지원하는 것은 전반적인 신체 기능을 향상시키고, 비위관 제거 성공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정기적인 평가

삼킴 기능과 비위관 제거 가능성을 정기적으로 평가하여 필요한 경우 조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평가 결과에 따라 재활 계획을 조정하고, 환자의 상태에 맞는 최적의 치료를 제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삼킴 기능이 향상되지 않는 중위험 환자는 조기 결정을 통해 위루관(PEG) 삽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환자와 가족은 비위관 제거 실패를 줄이고,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하는 것입니다.

 

 

고위험군과 중위험군의 맞춤형 관리 방법

비위관 제거 실패 위험이 높은 환자들은 특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연구에서는 환자들을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위험 수준에 맞는 맞춤형 관리 방법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위험군과 중위험군의 환자들은 비위관 제거 실패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보다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고위험군 관리

고위험군에 속하는 환자들은 나이, BMI, ADLs 의존도, 허혈성 뇌졸중 등의 요인으로 인해 비위관 제거 실패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러한 환자들은 조기에 위루관(PEG) 삽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PEG는 비위관보다 장기적으로 안전하며, 영양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위험군 환자들은 연하 기능 회복을 위한 집중적인 재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이 치료에는 반복적인 전자자극 치료, 삼킴 근육 강화 운동, 그리고 삼킴 보조 기구 사용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중위험군 관리

중위험군 환자들은 비위관 제거 실패 가능성이 있지만, 고위험군에 비해 성공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이 환자들은 삼킴 훈련을 통해 연하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한 달간의 삼킴 훈련 후, 환자의 FOIS(Functional Oral Intake Scale)와 IDDSI(International Dysphagia Diet Standardization Initiative)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 계획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FOIS와 IDDSI 점수가 향상되지 않은 경우, 추가적인 재활 치료를 통해 삼킴 기능을 더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향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이들 환자들도 PEG 삽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

고위험군과 중위험군 모두를 위해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맞춘 재활 치료는 비위관 제거 성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디오플루오로스코피(비디오 X-ray)와 섬유내시경을 이용한 삼킴 평가를 통해 삼킴 기능을 정확히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활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맞춤형 관리 방법을 통해 환자와 가족은 비위관 제거 실패를 줄이고,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조치를 취하는 것입니다.

 

 

비위관 제거 성공을 위한 실질적인 조언

비위관 제거를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환자와 가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비위관 제거 성공을 위한 몇 가지 실질적인 조언입니다.


꾸준한 연하 훈련

환자가 삼킴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연하 훈련이 필수적입니다. 연하 훈련은 다양한 기법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연하 근육을 강화하고 삼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훈련 기법으로는 음식의 질감을 조절하거나, 머리를 숙이거나 돌리는 보상 기법, 그리고 열-촉각 자극을 통해 삼킴 반사를 유도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훈련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 환자의 삼킴 기능이 점차 회복될 수 있습니다.

 

관련 이전 포스팅입니다.

 

자꾸 사레 들릴때, 삼킴근 강화 운동을 해보세요

예전에는 별로 그런 일이 없었는데, 최근들어 자주 사레 들리는 일이 자주 있으신가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우리 몸의 모든 근육들의 기능이 약화됩니다. 우리가 음식물을 삼킬 때 사용하는

rehab-doc.tistory.com

 


정확한 평가와 모니터링

환자의 연하 기능을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재활 계획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디오플루오로스코피(비디오 X-ray)와 섬유내시경을 이용한 삼킴 평가를 통해 환자의 삼킴 기능을 상세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재활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관련 이전 포스팅입니다.

 

[연하 장애] 선생님 그래서 저희 어머니가 콧줄을 뽑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닥터스피드입니다. 오늘은 그동안 시간 관계상 보호자분들에게 자세하게 설명해드리지 못해서 아쉬웠던 연하검사 및 그 결과에 따른 해석에 대해서 써보려고 합니다. 연하장애가

rehab-doc.tistory.com

 

 

[연하 장애] 콧줄과 뱃줄 이야기

안녕하세요! 닥터 스피드입니다. 오늘은 연하 장애가 있는 분들이 식사를 하는 방법인 콧줄(L-tube 혹은 NG tube)과 뱃줄(PEG)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연하 장애가 있는 환자분들의 보호자분

rehab-doc.tistory.com

 


적절한 영양 관리

환자가 적절한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비위관 제거 성공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저체중 환자는 영양 보충을 통해 체중을 증가시켜야 하며, 영양 상태가 불량한 환자는 고단백, 고칼로리 식단을 통해 영양을 보충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연하 훈련과 병행하여 식사 시간을 늘리고, 작은 식사를 자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심리적 지원

환자와 가족이 비위관 제거 과정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심리적으로 지지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위관 제거 과정은 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만큼, 환자와 가족이 스트레스를 덜 받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심리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족들이 환자에게 격려와 지지를 아끼지 않으면 환자의 회복 의지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조언들을 실천함으로써, 환자와 가족은 비위관 제거 성공률을 높이고,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입니다.

 

 

 

비위관 제거 후의 생활 관리

비위관 제거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환자와 가족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됩니다. 비위관을 제거한 후에도 환자의 건강을 유지하고, 연하 기능을 계속해서 향상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연속적인 삼킴 훈련

비위관이 제거된 후에도 삼킴 훈련을 지속해야 합니다. 연하 근육의 기능을 계속해서 강화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삼킴 훈련은 단순히 병원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가정에서도 꾸준히 진행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환자가 일상적으로 삼킴 운동을 반복하고, 다양한 식감의 음식을 시도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균형 잡힌 식단 유지

비위관 제거 후 환자는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충분한 영양을 섭취해야 합니다. 연하 기능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환자들은 부드러운 음식부터 시작해 점차 고형 식품으로 넘어가는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충분한 수분 섭취를 통해 탈수를 예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진료

비위관 제거 후에도 정기적으로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사는 환자의 연하 기능과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재활 치료나 영양 상담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진단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잠재적인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대처할 수 있습니다.


생활 속 활동 증진

비위관 제거 후에는 환자가 가능한 한 많은 일상 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생활활동(ADLs)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능력은 전반적인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가벼운 운동이나 일상적인 집안일을 통해 환자의 신체 기능을 향상시키고,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심리적 및 사회적 지원

비위관 제거 후 환자가 사회적으로 고립되지 않도록 심리적 및 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족과 친구들의 지속적인 격려와 지지가 필요하며, 필요한 경우 심리 상담이나 지원 그룹에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환자가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회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비위관 제거 후의 생활 관리는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입니다. 지속적인 삼킴 훈련과 균형 잡힌 식단, 정기적인 의료 진단, 생활 속 활동 증진, 그리고 심리적 및 사회적 지원을 통해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을 유지하고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환자와 가족이 함께 협력하여 이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간다면, 환자는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논문 원문 볼 수 있는 곳: https://www.e-arm.org/journal/view.php?number=4367

 

Predictors for Failed Removal of Nasogastric Tube in Patients With Brain Insult

INTRODUCTION Dysphagia is a common complication following stroke and traumatic brain injury (TBI), with reported incidence rates ranging from 27% to 80% [1,2]. Patients with these conditions often require nasogastric tube (NGT) feeding to maintain nutritio

www.e-arm.org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