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의료계 이슈22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 관련 법안 총정리(2025년 5월 업데이트) 1년 전 미국 의사면허에 대한 글을 작성했었는데, 2025년 5월 FSMB(Federation of State Medical Boards)에서 발표한 최신 자료를 바탕으로 대폭 업데이트된 내용을 가져왔습니다.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 관련 법안 총정리테네시 주에서 시작된 법안, 점점 더 많은 주(State)로 퍼져나가는 중지난해 테네시주는 미국으로 이주한 경험 많은 외국 의사들이 주민들에게 보다 쉽게 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최초rehab-doc.tistory.com 특히 2024-2025년 사이 미국 각 주에서 국제의대 출신 의사들을 위한 새로운 면허 취득 경로들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어, 한국 의사분들께는 정말 희소식이 될 것 같습니다!우선은 관련 법안들을 전체적으로 정리해보고, 이.. 의료계 이슈 2025. 6. 10.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7) - 아칸소주 2025년 4월 21일, 아칸소주에서 SB601 법안이 통과!2025년 4월 22일, 아칸소주에서 Senate Bill 601(SB601) 법안이 사라 헉커비 샌더스 주지사의 서명을 받아 정식으로 성립했습니다! 4월 21일 상원을 통과하고 바로 다음날 주지사가 서명을 해서 법안이 효력을 가지게 된 것입니다. 이 법안은 '외국 의과대학 졸업생이 의료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정규직 고용 제안을 받은 경우 아칸소주에서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경로를 만드는 법률'이라는 긴 이름을 가지고 있어요.특히 주목할 점은 아칸소주가 2025년 첫 번째로, 그리고 2023년 이후 10번째로 이런 외국 의사들을 위한 추가 면허 경로를 제공하는 주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현재 24개 주에서 비슷한 법안이 계류 중이라고 하니, 앞으.. 의료계 이슈 2025. 6. 4.
24학번은 ECFMG 신청이 가능할까? ECFMG 답변 분석 최근 원광대 의대가 중간평가에서 불인증(유예) 판정을 받으면서, 증원이 발생한 30개 의과대학의 불인증 판정 가능성이 더더욱 높아졌습니다. 무리한 입학 정원 증가로 인해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주요변화평가에서 불인증 판정을 받을 위기에 처해 있다는 점은 많은 분들이 아실 겁니다. 이와 관련하여 해외 의사 면허 시험을 생각하는 많은 의대생들이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4학번과 2025학번 학생들이 ECFMG certificate를 받을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해 문의를 해오시는 경우가 최근에 있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다시 ECFMG 측에 문의 이메일을 보냈고, 이전에 문의하고 받았던 답장과 이번에 받은 답장을 바탕으로, 24학번과 25학번의 ECFMG 인증 가능성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 글은 .. 의료계 이슈 2025. 1. 20.
미국, 한국인 취업 비자 문턱 낮추는 법안 발의(H.R.9952) 한국인도 전문직 대상 취업 비자를 쉽게 받을 수 있는 법안 발의 의사, 엔지니어, 컴퓨터 프로그래머 등 전문 기술을 보유한 한국인의 미국 비자 취득 문을 넓히는 일명 '전문직 취업비자 법안'(H.R.9952)이 미국 의회에서 추가로 발의되면서 가뜩이나 부족한 것으로 여겨지는 의학, 과학기술 분야 인재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비자 취득이 덜 까다로워지면서 미국행을 결심하는 최상위권 인재들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입니다. 최근 수 년간 과학기술 연구 인력의 해외유출 현상이 해마다 심화되는 가운데 과학계가 이번 법안 통과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하네요. 최근 과학계를 비롯해, 의료계에서도 미국으로 넘어가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어서 그런가 NIW(고학력자독립이민)신청이 밀려, 1년 이.. 의료계 이슈 2024. 10. 23.
"의료민영화 폭로 보고서"-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생회 작성(1) 의료민영화, 우리가 알아야 할 것대한민국의 의료는 많은 사람들에게 세계적으로도 높은 수준으로 평가받습니다. 실제로 기대수명, 의료 접근성, 의료비 등 다양한 지표에서 한국은 매우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의료 시스템에는 우리가 놓치기 쉬운 문제가 숨어있습니다. 바로 의료의 민영화입니다. 의료민영화는 단순히 병원이 민간 운영이 된다는 뜻이 아닙니다. 이는 민간 자본이 의료 시스템을 지배하면서 공공의 이익보다는 이윤을 우선시하는 흐름을 말합니다. 의료민영화는 겉으로 보기에는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많은 사람들이 필수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만들 위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의료민영화의 문제점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깊이 알아보겠습.. 의료계 이슈 2024. 10. 13.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