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의료계 이슈22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 관련 법안 총정리 테네시 주에서 시작된 법안, 점점 더 많은 주(State)로 퍼져나가는 중지난해 테네시주는 미국으로 이주한 경험 많은 외국 의사들이 주민들에게 보다 쉽게 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최초의 주가 되었습니다. 캐나다, 호주, 유럽연합 및 기타 선진국과 달리, 테네시주에서는 해당 의사들이 본인의 나라에서 장기간의 수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공인 레지던트 프로그램을 다시 이수하고 미국 의사 면허 시험(USMLE)에 합격해야 했었습니다. 이와 같은 까다로운 요건으로 인해 많은 경력 있는 의사들이 레지던트 프로그램에 자리를 얻지 못하거나 이미 받은 교육을 반복할 여유가 없어 다른 분야에서 일자리를 찾았습니다.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점점 어려워지고 평균 대기 시간이 3주를 넘는 상황에서 이들 외국인 의.. 의료계 이슈 2024. 4. 13.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2) - 플로리다주 미국에서 또 길게 레지던트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미국행을 포기했던 전문의 선생님들, 모두 소리 질러!2023년 4월, 미국 테네시주에서 SB1451 법안이 통과되었고, 2024년 7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할 예정이라는 지난 글에 이어, 이번에는 플로리다 이야기입니다! 한국 의사, 미국에서 레지던트 과정 없이 진료 가능!-점차 확대중(1)미국에서 또 레지던트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미국행을 포기했던 전문의 선생님들, 모두 소리 질러! 2023년 4월, 미국 테네시주에서 SB1451 법안이 통과되었고, 2024년 7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할 예정rehab-doc.tistory.com2024년 3월 21일, 주지사가 SB 7016 법안에 사인을 해서, 3월 22일자로 법으로 등록되었습니다. 통과된지 얼마 되지 .. 의료계 이슈 2024. 4. 13.
영국의 ECFMG certificate 신청 불가 사태?? (우리는 대비해야 할수도) 영국 의대 졸업 의사들이 2024년부터 ECFMG certificate 신청이 불가능해진다는 이야기, 들어 보셨나요?2024년부터 영국 의대 졸업 의사들이 EFMG certificate 신청이 불가능해진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영국의 의과대학 인증 기관인 GMC(General Medical Council)가 세계 의학 교육 연맹(WFME)의 인증을 2022년 10월 연장하지 않았고, 아직도 인증 신청조차 하고 있지 않아 앞으로도 ECFMG certificate 신청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이야기였습니다.그러나 영국의 경우 National Committee on Foreign Medical Education and Accreditation(NCFMEA)의 인증을 받은 상태여서 다른 pathway를 통해 현재 E.. 의료계 이슈 2024. 4. 10.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1)-테네시주 미국에서 또 레지던트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미국행을 포기했던 전문의 선생님들, 모두 소리 질러!2023년 4월, 미국 테네시주에서 SB1451 법안이 통과되었고, 2024년 7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할 예정입니다.YOG(Year of graduation)이 높아 포기했던 분들도 YOG가 전혀 상관 없기 때문에 좋고,레지던트 트레이닝을 다시 받아야 한다는 것 때문에 포기했던 분들도 레지던트 과정이 면제되기 때문에 좋고,현실적으로 matching에서 원하는 과를 갈 수 없을 거라는 생각 때문에 포기했던 분들도 본인의 전공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한국에서 전문의 자격을 가지고 있으면서 미국행을 생각했던 수많은 분들에게 최고의 소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이 방식을 통해 미국에 갈 경우, H1b 비.. 의료계 이슈 2024. 4. 9.
조병욱 전 대구 소아전문 응급의료센터 교수님의 필수의료 패키지 분석 - 결론 2024년 2월 1일, 보건복지부에서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발표 요즘 의사들의 사직으로 인해 아주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다만, 전공의들이 '파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사직'을 하고 영영 '전공의' 과정을 그만두고 나오는 것이 낫다는 생각들을 하게 된 이유는 '의대생 2000명 증원' 보다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가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병욱 전 대구 소아전문 응급의료센터 교수님의 필수의료 패키지 분석'글이 의사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어 정리해 공유해보려 합니다. 의료진에 대해 늘어나는 의사수로 인해 상대적 선점의 이유로 개원의 수요는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특히 필수 의료관련 분야에 대한 보호나 보상이 상급 의료기관에 치중되어 있으나 그 보상은 보장되어.. 의료계 이슈 2024. 2. 20.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