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ist-type-thumbnail 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promotion-mobile-hid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2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2) - 플로리다주 미국에서 또 길게 레지던트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미국행을 포기했던 전문의 선생님들, 모두 소리 질러!2023년 4월, 미국 테네시주에서 SB1451 법안이 통과되었고, 2024년 7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할 예정이라는 지난 글에 이어, 이번에는 플로리다 이야기입니다! 한국 의사, 미국에서 레지던트 과정 없이 진료 가능!-점차 확대중(1)미국에서 또 레지던트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미국행을 포기했던 전문의 선생님들, 모두 소리 질러! 2023년 4월, 미국 테네시주에서 SB1451 법안이 통과되었고, 2024년 7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할 예정rehab-doc.tistory.com2024년 3월 21일, 주지사가 SB 7016 법안에 사인을 해서, 3월 22일자로 법으로 등록되었습니다. 통과된지 얼마 되지 .. 의료계 이슈 2024. 4. 13.
영국의 ECFMG certificate 신청 불가 사태?? (우리는 대비해야 할수도) 영국 의대 졸업 의사들이 2024년부터 ECFMG certificate 신청이 불가능해진다는 이야기, 들어 보셨나요?2024년부터 영국 의대 졸업 의사들이 EFMG certificate 신청이 불가능해진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영국의 의과대학 인증 기관인 GMC(General Medical Council)가 세계 의학 교육 연맹(WFME)의 인증을 2022년 10월 연장하지 않았고, 아직도 인증 신청조차 하고 있지 않아 앞으로도 ECFMG certificate 신청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이야기였습니다.그러나 영국의 경우 National Committee on Foreign Medical Education and Accreditation(NCFMEA)의 인증을 받은 상태여서 다른 pathway를 통해 현재 E.. 의료계 이슈 2024. 4. 10.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1)-테네시주 미국에서 또 레지던트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미국행을 포기했던 전문의 선생님들, 모두 소리 질러!2023년 4월, 미국 테네시주에서 SB1451 법안이 통과되었고, 2024년 7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할 예정입니다.YOG(Year of graduation)이 높아 포기했던 분들도 YOG가 전혀 상관 없기 때문에 좋고,레지던트 트레이닝을 다시 받아야 한다는 것 때문에 포기했던 분들도 레지던트 과정이 면제되기 때문에 좋고,현실적으로 matching에서 원하는 과를 갈 수 없을 거라는 생각 때문에 포기했던 분들도 본인의 전공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한국에서 전문의 자격을 가지고 있으면서 미국행을 생각했던 수많은 분들에게 최고의 소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이 방식을 통해 미국에 갈 경우, H1b 비.. 의료계 이슈 2024. 4. 9.
[교과서 공부] Ch.12 요추 통증 (허리 통증) - 총론 우리가 살아가면서 겪는 여러 통증 중에서도 요통은 특히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고통입니다. 사실상, 대다수의 성인은 삶의 어느 시점에서 요통을 경험합니다. 그 정도가 가볍게 지나가는 경우도 있지만, 때로는 심각한 장애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요통에 관한 통계를 살펴보면, 생애 동안 84%의 사람들이 요통을 경험하며, 지난 6개월 동안 40%의 사람들이 요통을 겪었다고 보고합니다. 이러한 수치는 요통이 단순한 개인적 문제를 넘어서,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이슈임을 시사합니다. 요통은 '질병'이라기보다는 증상에 가깝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요통은 자연스럽게 회복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소수이긴 하지만, 만성화되어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요통은 그 발생 빈도와 영향력에 있어서.. 교과서 공부 2024. 4. 5.
공중보건의사 제도의 몰락(Feat. 현역입대, USMLE) 공중보건의사 제도의 몰락 최근 교보문고에서 확인되는 소식 하나가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바로 '미국 의사 국가고시(USMLE) 대비 서적'이 과학기술 분야 판매량 1위를 차지했다는 겁니다. 이런 현상은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신호인데요, 젊은 의사들 사이에서 미국으로의 대이동을 꿈꾸는 움직임이 확연히 늘어나고 있다는 명백한 증거거든요. 이와 별개로, 최근 기사들을 살펴보면 의대생들 사이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어요. 많은 의대생들이 대거 현역으로 군대에 입대하려는 움직임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은 공중보건의사의 숫자가 점점 줄어들며, '공중보건의사 소멸'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걸 시사하죠. 공중보건의사 수 변화 위 그래프는 신규 공중보건의사들의 수를 2015년부터 2023년까지 나타낸 표.. 일상/공중보건의사 2024.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