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ist-type-thumbnail 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promotion-mobile-hid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1

갑자기 찾아온 안면마비, 당황하지 말고 제대로 알고 가세요! 안면신경 마비는 갑작스러운 얼굴 변화로 나타나는 흔한 신경계 질환 중 하나입니다. 어제 지인이 갑자기 안면신경 마비가 와서 혹시나 뇌졸중인가 하고 급하게 응급실에 갔지만, 다행히 안면신경 마비로 밝혀져 이번 글을 기획해 봤습니다. 안면신경 마비는 미소를 지으려 해도 입꼬리가 한쪽만 올라가지 않거나, 눈을 완전히 감지 못하게 되는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인과 치료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면 회복 가능성이 충분히 높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안면신경 마비의 원인, 유형, 치료 방법과 회복 과정을 통해 안면신경 마비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 보겠습니다. 안면신경 마비란 무엇인가? - 증상과 정의안면신경 마비는 얼굴 근육을 움직이는 신경, 즉 안면신경이 손상되어.. 보호자 설명 2024. 11. 5.
미국, 한국인 취업 비자 문턱 낮추는 법안 발의(H.R.9952) 한국인도 전문직 대상 취업 비자를 쉽게 받을 수 있는 법안 발의 의사, 엔지니어, 컴퓨터 프로그래머 등 전문 기술을 보유한 한국인의 미국 비자 취득 문을 넓히는 일명 '전문직 취업비자 법안'(H.R.9952)이 미국 의회에서 추가로 발의되면서 가뜩이나 부족한 것으로 여겨지는 의학, 과학기술 분야 인재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비자 취득이 덜 까다로워지면서 미국행을 결심하는 최상위권 인재들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입니다. 최근 수 년간 과학기술 연구 인력의 해외유출 현상이 해마다 심화되는 가운데 과학계가 이번 법안 통과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하네요. 최근 과학계를 비롯해, 의료계에서도 미국으로 넘어가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어서 그런가 NIW(고학력자독립이민)신청이 밀려, 1년 이.. 의료계 이슈 2024. 10. 23.
"의료민영화 폭로 보고서"-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생회 작성(1) 의료민영화, 우리가 알아야 할 것대한민국의 의료는 많은 사람들에게 세계적으로도 높은 수준으로 평가받습니다. 실제로 기대수명, 의료 접근성, 의료비 등 다양한 지표에서 한국은 매우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의료 시스템에는 우리가 놓치기 쉬운 문제가 숨어있습니다. 바로 의료의 민영화입니다. 의료민영화는 단순히 병원이 민간 운영이 된다는 뜻이 아닙니다. 이는 민간 자본이 의료 시스템을 지배하면서 공공의 이익보다는 이윤을 우선시하는 흐름을 말합니다. 의료민영화는 겉으로 보기에는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많은 사람들이 필수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만들 위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의료민영화의 문제점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깊이 알아보겠습.. 의료계 이슈 2024. 10. 13.
2024-2025절기 보건소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정보 및 Q&A 2024년 보건소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사업안녕하세요. 닥터스피드 입니다. 의료대란으로 의료계가 어수선한 요즘,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도 기지개를 켜고 있습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2024년도에도 보건소에서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실시하여 우리 모두의 건강을 지키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답니다. 2024년 9월 20일 어린이 무료접종부터 시작해 어르신, 임산부까지 전국 보건소에서 인플루엔자 백신 무료 접종 사업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고, 안전한 겨울을 맞이하실 수 있도록 열심히 써 보았습니다.  인플루엔자 백신, 왜 매년 맞아야 할까요?인플루엔자, 또는 독감이라고도 불리는 이 질병은 매년 유행하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일상/공중보건의사 2024. 9. 19.
테네시주 면허관리 위원회, 새 법안 시행 거부 최근 테네시주 의료 위원회가 해외에서 교육받은 의사들의 면허 신청을 허용하는 새로운 법안, Chapter 211을 거부하면서 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 법안은 테네시의 심각한 의료인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입되었지만, 의료 위원회는 환자 안전을 이유로 이를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 사건은 환자 안전과 의료 인력 부족 문제 사이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딜레마를 잘 보여줍니다. 테네시주 법안 자체에 대해서 읽어보지 못하신 분들은 이전에 정리한 글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1)-테네시주미국에서 또 레지던트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미국행을 포기했던 전문의 선생님들, 모두 소리 질러!2023년 4월, 미국 테네시주에서 SB1451 법안이 통과되었고, 2024년.. 의료계 이슈 2024. 9.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