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ist-type-thumbnail 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promotion-mobile-hid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활의학과12

[재활의학과 교과서 공부] 경직(Spasticity) - 역학, 정의, 병태생리, 평가 안녕하세요! 닥터스피드 입니다. 척수손상, 뇌손상 환자들의 경우 경직으로 인해 고생하는 경우를 많이 보는데요, 기능적인 면에서도 환자 위생 관리 면에서도 경직을 조절해주는 것이 중요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경직(Spasticity)에 대해서 한번 자세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경직은 뇌성마비, 뇌졸중, 척수손상, 다발성 경화증 등의 중추 신경계의 질병이나 손상에 의하여, 신장반사의 증가와 관련된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근육긴장도의 증가와 관련된 이상 증상의 하나입니다. 증가된 근육의 긴장도로 인해 보행이나 이동, 개인 위생 활동의 제한을 가져오게 되고, 제대로 관리하지 않는 경우 관절의 구축이나 변형, 통증, 욕창 등의 원인이 되어, 환자의 기능을 제한하며 성공적인 재.. 교과서 공부 2022. 6. 30.
[재활의학과 교과서 공부]연하 장애(삼킴 장애, Dysphagia)-2 안녕하세요. 닥터 스피드입니다. 지난번 글에서는 연하 기능의 이해, 병태생리, 유발질환, 역학, 평가에 대하여 재활의학과 한글 교과서를 바탕으로 공부해 보았습니다. [재활의학과 교과서 공부]연하 장애(삼킴 장애, Dysphagia)-1 안녕하세요. 닥터 스피드입니다. 오늘도 일하면서 방사선 듬뿍 맞아가며 비디오투시 연하검사(VFSS)를 하고 왔는데요, 이래서 재활의학과 전문의 형들 보면 딸이 대부분인가.. 하는 생각도 듭니 rehab-doc.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그 뒤를 이어 연하 장애, 삼킴 장애의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도 역시 대한재활의학회에서 편찬한 재활의학 교과서를 바탕으로 공부해보겠습니다. IV. 치료 찬장애 치료의 목표는 적절한 영양 섭취 및 흡인의 예방,.. 교과서 공부 2022.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