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ist-type-thumbnail 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promotion-mobile-hid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 의사 법안12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5) - 아이다호 미국 50개 주 중에서 가장 의사가 부족한 아이다호  2024년 3월 28일, 아이다호 주지사가 HB 542 법안에 사인을 해 2025년 1월 1일부터 이 법이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아이다호는 현재 미국의 50개 주 중에서 가장 의사가 부족한 주로 평가되는 주입니다. 그래서 적극적으로 해외의 의사들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간략하게 우선 설명하자면, 2025년 1월 1일부터 효력을 발휘하게 되는 이 법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1. 레지던트 과정을 완료하고 3년 이상 전문의로 근무2. USMLE step2까지 합격, ECFMG 필요3. 3년짜리 제한된 면허 발급4. 3년간 수련받은 이후 정규 먼허 신청 가능 미국이 대선 기간이고, 현재 낙태 관련 이슈때문에 불타오르는 중이.. 의료계 이슈 2024. 4. 21.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4) - 버지니아 버지니아주, 4월 4일 관련 법안 통과이전에 소개했던 다른 주들에 이어, 버지니아주도 4월 4일 HB995법안이 통과되며 다른 주들처럼 외국 의대 졸업자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 위한 작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습니다. 이 법안을 통해 한국 및 다른 국가에서 수련받은 의사들에게 미국 내에서 의료 활동을 시작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제공합니다.간략하게 우선 설명하자면 2024년 7월 1일부터 시행될 이번 법안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1. 해외 의사 면허 소지자에게 제한된 병원에서만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갱신이 불가능한 2년짜리 임시 면허를 발급할 수 있다.(USMLE, ECFMG 조건 없음.)2. 해외에서 5년 이상 의사로 근무한 사람에게 의료 취약지에서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갱신이 가능한 .. 의료계 이슈 2024. 4. 18.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3) - 일리노이주 일리노이주의 외국 의사들을 위한 면허 규정 정리일리노이 주의 의사 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주 의회는 2023년 9월 해외에서 수련받은 의사들을 위한 새로운 면허 취득 경로를 도입하는 법률을 통과시켰습니다. 이 경로는 의료 메디케이드 예산 법안의 일부로, 원래의 법률 하에서 정규 면허를 취득할 자격이 없는 해외 의대 졸업생(IMG)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현재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은 테네시주로, 테네시주는 레지던트 과정을 생략하고 미국에서 진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일리노이주의 경우 제한된 면허로 2년간 근무하고 나면, 정식 면허를 신청할 수 있는 것이 주된 특징입니다.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1)-테네시주미국에서 또 레지던트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미국행을 포기했던 전문의 선생님.. 의료계 이슈 2024. 4. 16.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 관련 법안 총정리 테네시 주에서 시작된 법안, 점점 더 많은 주(State)로 퍼져나가는 중지난해 테네시주는 미국으로 이주한 경험 많은 외국 의사들이 주민들에게 보다 쉽게 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최초의 주가 되었습니다. 캐나다, 호주, 유럽연합 및 기타 선진국과 달리, 테네시주에서는 해당 의사들이 본인의 나라에서 장기간의 수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공인 레지던트 프로그램을 다시 이수하고 미국 의사 면허 시험(USMLE)에 합격해야 했었습니다. 이와 같은 까다로운 요건으로 인해 많은 경력 있는 의사들이 레지던트 프로그램에 자리를 얻지 못하거나 이미 받은 교육을 반복할 여유가 없어 다른 분야에서 일자리를 찾았습니다.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점점 어려워지고 평균 대기 시간이 3주를 넘는 상황에서 이들 외국인 의.. 의료계 이슈 2024. 4. 13.
한국 의사, 미국 의사 쉽게 되기(2) - 플로리다주 미국에서 또 길게 레지던트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미국행을 포기했던 전문의 선생님들, 모두 소리 질러!2023년 4월, 미국 테네시주에서 SB1451 법안이 통과되었고, 2024년 7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할 예정이라는 지난 글에 이어, 이번에는 플로리다 이야기입니다! 한국 의사, 미국에서 레지던트 과정 없이 진료 가능!-점차 확대중(1)미국에서 또 레지던트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미국행을 포기했던 전문의 선생님들, 모두 소리 질러! 2023년 4월, 미국 테네시주에서 SB1451 법안이 통과되었고, 2024년 7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할 예정rehab-doc.tistory.com2024년 3월 21일, 주지사가 SB 7016 법안에 사인을 해서, 3월 22일자로 법으로 등록되었습니다. 통과된지 얼마 되지 .. 의료계 이슈 2024. 4. 13.
반응형